아파트 (부동산) 매매 후 소유권 이전 등기에 필요한 서류에 대하여 총정리해서 알려 드립니다. 요즘은 부동산 매수 후 부동산 등기 시 법무사 수수료를 아껴 보고자 셀프로 소유권 이전등기를 진행하시는 분들이 많으니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. 저도 몇 건을 진행해 보니, 처음에는 서류 작성이나 용어에 대한 어려움들이 있었으나 차츰차츰 좋아지고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었습니다. 여러 분들도 이 게시글을 통하여 부동산 셀프 등기 하시고, 법무사 수수료 아끼시기를 바랍니다
I. 매도인 (파시는 분)이 준비해야 할 서류
1) 부동산의 등기필증 (등기권리증)
: 집 문서라고 보통 얘기합니다. 부동산 등기필증 (등기권리증) 여러 개 가진 분들이 부럽습니다.
: 많은 레버리지를 통해 쌓인 부동산이라면 지금 어려움이 있으시겠지만, 버티면 언젠가는 상승의 시장이 열리니 잘 이겨내시기를 바랍니다
2) 인감증명서 1부 (부동산 매도용)
: 꼭 부동산 매도를 위해서는 "부동산 매도용"이라고 기재하신 후 발급받으십시오
기타 위임장에 쓰는 것은 별다른 목적을 기입함이 없이 발급하시면 됩니다.
: 아직까지 인감증명서는 인터넷상으로 "정부 24 사이트"에서 발급되지 않기 때문에 주변의 동사무소 (또는 행정복지센터)를 방문하셔야 합니다. 방문하실 때 신분증 챙기시는 것 잊지 마세요
: 매수인의 인적사항 반드시 기재 (이름, 주민등록번호, 주소)
- 부동산 등기를 위한 서류이기에 매수자에 대한 정보도 반드시 기입하도록 되어 있습니다.
- 이 부분은 부동산 매매 계약서 등을 참조하시면 됩니다.
3) 주민등록초본 1부
: 주민등록초본을 발급받으실 때의 주의 사항입니다
- 이전 주소, 변동이력이 모두 포함되도록 출력을 합니다
- 주민번호 뒷자리도 모두 기재되어 보이도록 출력을 합니다
- 법인의 경우는 법인 등기부 등본으로 발급받으시면 됩니다
- 공동명의의 경우는 공동명의자 전부의 주민등록초본이 필요합니다
- 3개월 이내의 것이어야 합니다
아파트 셀프 등기 - 1. 주민등록등본 발급
아파트 (부동산) 매매 후 셀프 등기 과정에 대한 설명을 순서대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 신분 확인을 위한 필수 서류로서 주민등록등본 발급과 관련된 사항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아파트 매
studygodoit.com
4) 인감도장
- 매도인 위임장에 도장 찍을 때 필요.
: 부동산 등기 시 매도인과 매수인이 공동으로 신고를 해야 하는데, 이때 매수인이 단독으로 신고를 하여도 인정이 됩니다. 이를 위해 매도인의 위임장이 필요하며, 위임장에 인감도장을 날인하여야 합니다
: 참고로 계약서에 들어가는 도장은 인감도장이 아닌 일반도장이나 사인, 손가락 지장으로도 가능합니다.
- 법인의 경우는 법인 인감도장이 필요합니다
II. 매수인이 준비해야 할 서류
1) 주민등록등본 (원본 3부)
: 주소의 변동 사항이 있는 경우는 주민등록초본을 준비하셔야 합니다.
: 매수인 가족 전원의 주민등록번호 표시가 되도록 해야 하는데, 이 부분은 주민등록등본(초본) 발급 게시글에 자세히 기술하도록 하겠습니다
: 정부 24 사이트에서 발급 가능합니다
2) 토지대장 (대지권등록부) 1부
: 집합건물 (아파트의 경우) 대지권 등록부도 같이 발행
: 아파트의 경우는 전유 부분에 대한 사항이 나오는 건물대장과, 대지권에 대한 사항이 포함된 대지권 등록부가 필요합니다
아파트 셀프 등기 - 2. 토지대장(대지권등록부)
아파트 (부동산) 매매 후 셀프 등기 과정에 대한 설명을 순서대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 이번에는 토지 대장과, 집합건물(아파트의 경우) 대지권등록부 발급과 관련한 사항입니다. 아파트
studygodoit.com
3) 건축물대장 1부
: 주택 (집합건물, 아파트 포함) 관련한 사항이 기술된 문서입니다
아파트 셀프 등기 - 3. 건축물 대장 출력
아파트 (부동산) 매매 후 셀프 등기 과정에 대한 설명을 순서대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 이번에는 건축물 대장을 출력하여 상세 부동산(아파트: 집합건물)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이
studygodoit.com
4) 가족관계증명서
: 매수인 세대원 (가족) 전원이 나와야 하고, 주민등록번호도 표시가 되도록 발급받으셔야 합니다
: 이를 통하여 세대 내 가족의 주택 보유 등을 파악하기 위한 것입니다
아파트 셀프 등기 - 4. 가족관계증명서 출력
아파트 (부동산) 매매 후 셀프 등기 과정에 대한 설명을 순서대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 추후 세대원의 주택 보유에 대한 사항 등을 확인하기 위해 가족 전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가족
studygodoit.com
5) 부동산 거래 신고필증
: 공인중개사 부동산 사무소에 얘기하시면 발급해 줍니다. 물론 인터넷을 통하여서도 출력이 가능합니다
부동산 거래신고 - 거래계약 신고필증 발급하기
부동산 매매나 임대차 계약 등 거래를 하게 되면 부동산 거래신고를 하게 되어 있습니다. 아직 계도 기간으로 의무는 아니라고 하나, 거래의 투명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부동산 거래신고를 하는
studygodoit.com
6) 국민주택채권매입 / 납입영수증
: 주택을 매수하게 되면 법적으로 국민주택채권매입을 하도록 되어있습니다
: 보통은 매입 후 바로 근처 은행에서 할인하여 매도를 하게 됩니다.
: 어떤 분들은 채권을 그대로 보유하고 계시다가 만기 시점에 매도하시는 분도 있습니다. 자금의 여유가 있으신 분이 아니라면 매입 후 할인하여 바로 매도를 합니다
국민주택채권 매입 - 공시지가 확인하기
국민주택채권을 매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공시지가를 확인하셔야 합니다. 공시지가 확인 후 지역별, 매입가격에 따른 매입률에 따라 국민주택채권을 매입하시면 됩니다. 이에 대하여 먼저 공시
studygodoit.com
7) 취득세 신고, 납부 영수증
: 시청이나 구청에 가시면 취득세 납부 영수증을 발급받으시고, 그에 대해 납부하신 후 납부 확인 영수증을 발급받아, 이를 제출하시면 됩니다
부동산 취득세 신고 · 납부 및 확인서 발급
아파트 (부동산) 매수 후 부동산 매매에 따른 취득세를 신고 납부해야 하는 과정입니다. 이후 아파트 셀프 등기를 위해 취득세 신고 및 납부하고, 납부확인서를 발급하는 방법에 대하여 안내를
studygodoit.com
8) 등기수수료 납부 영수증
: 등기를 위한 수수료가 사전에 알려 주고, 이에 대하여 납부한 영수증을 제출합니다
아파트 셀프 등기 - 8. 등기신청수수료 전자납부
아파트 (부동산) 매매 후 셀프 등기 과정에 대한 설명을 순서대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 부동산 매매에 따라 소유권 이전을 위한 등기를 신청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수수료 확인 및 전자납
studygodoit.com
9) 정부수입인지
: 이는 인지대라고 표현이 되는데, 부동산 권리필증 (등기권리증) 발급에 따른 인지를 구입하여 제출하면 이것을 부동산 권리필증에 붙여서 날인 후 돌려줍니다
아파트 셀프 등기 - 9. 정부수입인지 구매 , 출력
아파트 (부동산) 매매 후 셀프 등기 과정에 대한 설명을 순서대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 부동산 소유권 이전을 위해 필요한 정부수입인지 금액과 구매에 대한 설명이 되겠습니다 부동산
studygodoit.com
10) 소유권이전등기신청서
: 이 모든 것이 부동산 권리필증 (등기권리증) 발급을 위한 것인데, 소유자의 명의가 매수인으로 변경이 되기 위하여 관련 서류를 준비한 것이고, 이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 신청서를 작성하여야 합니다
: 이 부분이 좀 까다롭던데, 아래의 소유권이전등기신청서 작성 방법을 참조하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
소유권이전등기신청서 작성방법 완벽가이드
소유권이전등기신청서 작성방법에 대하여 완벽하게 따라 하실 수 있도록 안내해 드리겠습니다. 일반적으로는 법무사 등을 통하여 진행하시기에 잘 몰라도 되지만 아파트 (부동산) 매매 후 셀프
studygodoit.com
11) 부동산 매매계약서(원본, 사본 2부)
: 실제 부동산을 매매했다는 계약서를 제출합니다. 이는 나중에 부동산 권리필증(등기권리증)을 줄 때 함께 돌려줍니다.
12) 위임장 (대행 시)
: 매수자 본인이 소유권이전등기신청서를 제출하는 경우는 필요 없으나, 대리인을 통하거나 하게 되면 위임장을 작성하고, 인감증명서와 함께 인감도장을 날인하여 제출해야 합니다
위임장 작성법 (위임장 양식 - 영문양식 작성예시 포함)
위임장을 작성하는 법과 각종 위임장 양식을 영문 양식 포함하여 전해 드립니다. 본인이 처리해야 할 일에 대하여 여러가지 이유로 다른 분에게 권한을 정하여 위임하고자 할 때 위임장을 쓰게
studygodoit.com
13) 도장 ( 막도장 가능)
: 소유권이전등기신청서에도 매수인에 대한 서명 날인이 있는데, 이에 필요한 도장입니다. 보통은 인감도장을 지참하고 계시니 이로서 날인하시면 됩니다
14) 신분증
: 너무나 당연한 필수 증명서이겠지요
지금까지 부동산 매수 후 소유권이전등기를 위해 필요한 서류에 대하여 안내드리면서 실제 어떻게 발급받는지에 대한 사항까지도 정리해 드렸습니다. 세부적인 사항은 하나하나 잘 따라 해 보시면 무리 없이 셀프 등기 하시면서 법무사 비용 절약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. 다만 권리관계가 복잡하거나 대출의 상환이나 신규 대출을 진행해야 하는 등 복잡하다고 판단이 되시면 법무사를 이용하시는 것도 안전하고 편하게 일처리가 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'부동산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동산 취득세 신고 · 납부 및 확인서 발급 (0) | 2023.01.08 |
---|---|
아파트 셀프 등기 - 4. 가족관계증명서 출력 (0) | 2023.01.05 |
아파트 셀프 등기 - 3. 건축물 대장 출력 (0) | 2023.01.04 |
토지대장 인터넷 발급 출력하기 (대지권등록부) (0) | 2023.01.04 |
인터넷 주민등록등본 발급 따라하기 (0) | 2023.01.03 |